悲運의 大韓帝國 王室
고종의 장례식에 참석하는 이토히로쿠니 공작과 조동윤 남작
삼전에 참배하기 위해 영친왕과 함녕전을 나서는 고종의 모습
1918년 1월 23일 오후 2시경
사진기로 창경원 하마를 촬영 하는 영친왕
수업을 마친 덕혜옹주가 교문 을 나와 마차에 오르려 하는 모습을 찍었다.
뒤쪽에 학교 교사들과 수행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강제유학을 떠나기 직전 찍은 사진으로 보인다.
정중앙에 있는 흰 얼굴의 앳된 소녀가 덕혜옹주다.
군복차림의 영친왕이 1918년 1월25일
당시 사진첩 기록을 보면 그는 원아들의
연미복 입은 수행원들과 함께
사진은 함녕전에 차려진 일본 신사풍의 제단 앞에서
왼쪽 문 바로 옆에서 힐끗 카메라를 보고 있는 인물이 당시 총독 하세가와다.
그 옆에 화려한 견장의 제복을 입은 정무 총감 야마가타의 모습이 보인다.
주한 이탈리아 공사 카를로 로제티의 '꼬레 아 꼬레아니'(1904),
- 호머 헐버트씨 는 1906년 발간된
(오른쪽)독일 출신 작가의 사진첩에서 나온 것이다.
설명이 붙어 있고 대원군의 평상복 사진과 배경이 같아
그러나 이미 1890년대 초반 발간된
위 왼쪽 사진 ; 고종, 순종,
오른쪽 ;독일어로 ‘Palastdame’(궁녀),
(조선 왕의 시종)란 설명이 붙었음.
오른쪽은 중국풍 복식 차림의 대원군 , 이하응
사진들은 1910년 일제 에 의한 강제 병합 이후
이전 창덕궁의 모습 을 담고 있다
영친왕, 덕혜옹주를 담고 있는 이 사진은 1918년 1월21일 촬영된 것이다.
배에서 내리는 영친왕
영친 왕이 윤덕영 자작(오른쪽)과 총독부 관리들의
1918년 1월13일 오후 9시경 남대문역에 도착한
영친왕이 2대 총독인 하세가와 요시미치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
소유하게 되면서 현재 덕성여자대학교
덕수궁 석조전
1층에 시종인들의 거실을 두고 2층에 접견실과 홀,
이후 석조전은 고종이 주로 외국 사신을 접견하는 장소로
한국사진계 선각자인 백오 이해선(1905-1983)선생
구한말 황실의 모습을 보여주는 희귀 사진이 발견됐다.
않았던 조선 황실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한국 사진의 선각자이자 흥완군(대원군의 형)의 손자
조선 마지막 순종효황후 윤씨의 승하일
왼쪽부터 영친 왕, 순종, 고종, 귀비엄씨, 덕혜옹주 모습
왼쪽부터 덕혜옹주, 이방자 여사, 윤황후, 순종, 영친왕 ,
영친왕의 아들 이진, 이진을 안고 있는 사무관
이 사진은 1882 년 8월 한성관무처에서 62세 생일기념으로 찍은 사진
조선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식
"일명을 겨우 보존한 짐은 병합 인준의 사건을
오직 나를 유폐하고 나를 협제하여 나로 하여금
한 목숨이 꺼지지 않는 한 잠시도 잊을 수 없는지라,
1926년 4 월25일(음3월14일) 오전 6시 15분,
유언을 남기며 창덕궁 대조전에서 53세로 숨을 거뒀다.
17년의 세월이 흐른 때였다 .
1907년(광무11년) 7월19일(음6월10일)
순종은 고종을 대신해 대리청정을 하다가
- 그 해 일제는 한일신협약(정미7조약)을 강제로 체결했다.
1906년 2월에 이미 통감을 설치해 국정을 간섭하게 됐으니
조선은 망국의 길에서 돌이킬 수 없는 사태에 이른 시점이었다.
통감 설치 이후 일본인이 정부 각처의 차관으로 임명되고
행정력을 모두 장악하는 차관정치를 실시한다.
이어 일제는 1908년 경제 수탈을 위한 동양척식주식회사를
설립한다. 1909년 법부와 군부를 각각 폐지해 사법권과
군수통수권까지 일본에 넘어갔다.
일제가 조선에 빼앗을 것은 국권 밖에 남지 않은 상태였다.
거센 폭풍우 몰아치는 들판에서 깜박거리는 등불이었던
조선은, 1910년 8월29일 이완용, 송병준, 이용구 등
친일매국노가 앞장선 한일합방 조약이 맺어지며 불이
꺼지고 만다. 대한제국 멸망 후 순종(1874~1926)은 강제로
황제 자리에서 퇴위 당하고 일본 천황가의 하부단위 '창덕궁
이왕(李王)'으로 격하 돼 창덕궁에 갇혀 한 많은 세월을 보낸다
조선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식
-순종의 인산일 일어난 6·10만세 운동
고종과 순종은 여러 차례 독살설에 휘말린다 .
고종과 명성황후 사이에 태어난 순종은
1875년 왕세자로 책봉된다.
고종이 숨을 거둔 1919년, 일제에 의해 독살 당했다는
소문에 민심이 흉흉해지고 3·1운동을 촉발시킨 원인이 됐다.
그 이전인 1898년 커피를 즐기던 고종과 황태자 순종의
커피에 독을 넣었다는 일제 독살설도 있다.
커피 맛을 잘 아는 고종은 한 모금 마시다가 뱉어버렸지만
순종은 다 마셔버려 두뇌에 이상이 왔다는 독 살 미수사건의
일설도 전해진다
1926년 4월25일 승하한 순종은 27일 소렴을 하고 29일
대렴을 마친 뒤 , 빈전(殯殿·발인 전까지 관을 두는 곳)을
창덕궁 선정전에 설치한다. 경기도 남 양주시 금곡동
고종의 홍릉 경역 왼쪽 줄기에 능을 정하고 5월7일부터
산역을 시작했다. 순종의 능호 역시 고종과 마찬가지로
일제가 승인할 리 없었고 황실은 고종과 마찬가지로
편법을 동원한다. 순명효황후 민씨 (1872~1904)는
순종이 즉위하기 전 광무8년(1904) 33세로 황태자비로
승하해 경기 용마산 내동에 안장됐었다.
순종은 즉위하자 순명효황후로 추상하고 민씨의
유강원(裕康園)을 유릉(裕陵)으로 추봉했다.
일제로서도 이미 능호를 받은 유릉을 격하시킬 수도
없앨 수도 없는 일. 더욱이 황실에서 무덤을 천장하고
부부를 합장시키겠다는 데야 제 아무리 일제라도
간섭할 수 없는 노릇이었다. 그보다 일제가 신경을
곤두세운 것은 조선의 황제가 죽은 분노를
터트릴 민중들의 움직임이었다
순명효황후가 죽은 지 21년 후인 1926년 6월 4일
오전 6시, 황후의 유해는 구릉(舊陵)에서 발인해
금곡으로 향한다. 6월5일 오전 6시 황후는 오른쪽
황제의 자리를 비워두고 왼쪽에 자리 잡는다.
닷새 후인 6월10일 장례식을 마친 융희황제 순종의
인산행렬이 창덕궁 돈화문을 나서 단성사 앞을 지날 때였다.
황제의 마지막 가는 길을 보러 나온 수많은 군중 속에서
수천장의 격문이 날아오르며 "대한 독립만세!" 함성이
터져나왔다.
중앙고등보통학교, 중동학교의 대표자 박용규, 곽대형,
이광호, 이선호 등이 주도해 사립고보생 2만4000명을
동원했고, 연희 전문의 이병립, 경성대학의 이천진,
조선학생과학연구회의 박하균, 박두종, 이병호 등이
격문과 태극기를 제작하여 배포했다.
이는 학생들이 주도해 전국으로 퍼 져나
6·10 만세운동의시작이었다.
일제가 창덕궁 이왕으로 격하시켰지만 순종 은
조선 민중에게 여전히 황제였고 정신적인 지주였다.
조선총독부는 미리 경찰과 군인 7천명을 동원해
삼엄하게 경계하고 있었지만 독립의 염원을 외치는
조선의 함성을 막을 수 없었다
뒤이어 을지로, 종로3가, 동대문, 청량리에서
학생들은 토지제도의 개혁, 일본제국주의 타도 등을
외쳤고 시민 수만명이 이에 호응해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목 터지게 불렀다. 순종의 인산일 하루 동안 체포된
학생이 1천명에 달했다.
"지금 한 병이 침중하니 일언을 하지 않고 죽으면
짐은 죽어서도 눈을 감지 못하리라. 이 조칙을 중외에
선포하여 내가 최애최경하는 백성으로 하여금 병합이
내가 한 것이 아닌 것을 효연히 알게 하면 이전의 소위
병합 인준과 양국의 조칙은 스스로 과거에 돌아가고 말
것이리라. 여러분들이여 노력하여 광복하라. 짐의 혼백이
명명한 가운데 여러분을 도우리라."
죽는 순간까지 순종의 가슴에 한 맺혔던 마 지막 유언을
백성들이 알 리 없었지만 순종의 혼백은
6·10 만세운동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는 영원히 돌아오지 않는 길로 떠났다. 떠나는 순간,
아직 순종의 염원이 이뤄지기는 요원하다는 것을
그도 알고 있었으리라
조선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식
황제는 가고 무덤가는 적막하다
6월 11일 해시(亥時·21~23시)에 순종은 일 제에
국권을 빼앗긴 한을 풀지 못하고 유릉에 순명효황후와 합장됐다.
조선의 황제 순종은 국권을 빼앗긴 울분에 눈을 감지 못했으리라순종의 계비
순정효황후(1894~1966) 윤씨는 1906년 황태자비로
책봉되고 1907년 순종의 즉위로 조선 최후의 황후가 된다.
순정효황후는 최후까지 황실의 기품을 잃지 않고 황실의
어른으로지내다가 한국전쟁을 겪고 낙선재에서
1966년 2월 3일 73세로한 많은 일생을 마쳤다.
조선왕조에서 마지막으로 왕릉에 잠든순정효황후는
유릉에 순종과 순명효황후와 합장돼 유일하게
한 무덤에 황후 둘과 황제가 한 무덤에 있는 능이 됐다.
순정효황후는 국권이 피탈될 당시 병풍 뒤에 서 어전회의를
엿듣고 있다가 친일파들이 순종에게 합방조약에 날인할 것을
강요하자 치마 속에 옥새를 감추고 내놓지 않았다고 한다.
황후의 치마 속을 누가 조사할 수 있으랴.
친일파였던 숙부 윤덕영이 들어와 강제로 이를 빼앗아
갔다는이야기의 주인공이 순정효황후다.
고종의 홍릉과 같은 구조로 조성된 유릉에 오른다.
조선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 례식
운현궁 양관
창경궁 궁내부 사진
'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대 적멸보궁 (0) | 2009.08.15 |
---|---|
안중근 의사 묘역 (0) | 2009.04.19 |
독도는 우리땅(역사자료) (0) | 2009.03.19 |
♣ 有我無蛙人生之恨 ♣ (0) | 2009.03.07 |
우리는 무엇을 남기고 갈 수 있을까요? (0) | 2009.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