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상식

뒷짐 자세

왕자별 2017. 3. 22. 14:23


뒷짐만 져도 낫는다.


뒷짐을 한다구요? 뒷집 지는것은 뭔가 태만하고
방관하는것 같아 제일 싫은데요?
그러나 이제 뒷짐을 져야 사는 시대가 되었다.

상당수의 병은 등뼈에서  문제가 생겨서 온다
이것을 알지 못하면 치료해도
별 실효를 거두지 못한다.
그러나 척추교정을 하고 나면
놀라운 치료를 경험하게 된다.
또 상당수의 병은 복부비만에서 온다
비만 문제만 해결해도
질병의 위험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다.
 


그래서 다이어트하기 위해서
전 국민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좋지않는 자세 척추문제와
비만문제를 간단히 동시에 해결할 방법은 없을까?
이것을 동시에 해결하는 방법이 바로 뒷짐지는 자세이다.

우리국민은 부지런한 국민이어서 뒷짐자세를 좋아하지 않았다.
그러나 뒤짐자세는 귀중한 가슴을 열어주고 목과 허리를 곧게하여
척추로 인해서 오는 각종질병치료에 좋을뿐 아니라
뇌의 명령으로 복부비만을 어느다이어트보다
확실히 처리해 준다.원리는 간단하다.



뒷짐을 지면 굽은 가슴과 복부가 꽃꼿해 지게 된다.

그리고 자세가 굽을때 뇌는 몸의 불안을 느끼고
앞에다 지방을 실어주었는데
뒷짐자세로 상황이 반대가 되니
배에 실어놓은 지방을 처리하는 것이다.

뒷짐자세 국민운동으로 벌이자
우선 뒷짐부터 져 보라.가슴이 시원할 것이다.

시원함은 뒷짐을 지는 순간부터
내몸이 치료되기 시작하는 증거다.

뒷짐을 지고 다리에 힘주지 않고
가볍게 걸으면 파워워킹보다 다이어트 효과가 낫다.




다리에 힘주지 않아야 할 이유는
뇌에 내민 배를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매일 30분씩만 걸으면
월중 10키로 감량은 어렵지 않다.

폐장 위장 간장 심장 비만 신장 디스크 등에
생긴 질병도 찾아보기 힘들게 된다.
뒷짐자세를 습관화하면 곧게 생활하게 된다.

이제 뒷짐은 부덕이 아니라
건강을 지키는 미덕인 것이다.
과거 조선시대 선비들은 하루종일 방안에서 정좌하며
글 읽고 쓰기를 반복하면서도
하루일과 중 꼭 한가지를 빼놓지 않았다.

하루세번 어김없이 밖으로 나와 뒷짐을 지거 나
고개를 들고 먼 산천을 향해 깊은 호흡을 하면서
마을을 한바퀴 천천히 걷는 것이다.
그냥 걷는것이 아니라 뒷짐을 지고 걸었다.



이땅의 기운을 받고 하늘의 기운을 받아
오장육부의 활동을 자유롭게 하고
소화를 촉진시키는 뒷짐산책 요법이다.

왜 이좋은 건강법이 전수되어 내려오지 못했는지 모르겠다.
그랬다면 한국은 선비의 나라요 세계 장수국에다 더 날씬하고
아름다운 민족이 되었을 텐데 말이다.

어때요 지금부터라도 뒷짐지고 걸어보지 않으시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