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마디의 말이 한 사람의 삶을 바꾼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9FCE465A9E579F20)
그의 아버지는 6. 25 전쟁에서 한쪽 눈을 잃고 팔다리를 다친 장애 2급 국가 유공자였다. 아버지는 그에게 반갑지 않은 이름이었다. ‘병신의 아들’이라 놀리는 친구들 때문이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341C435A9E581714)
가난은 그림자처럼 그를 둘러쌌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표현하고 싶을 때마다, 술의 힘을 빌려 말했다.
"아들아, 미안하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2778465A9E583C2C)
이국종 교수의 이야기다. 그는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중학교 때 축농증을 심하게 앓은 적이 있습니다. 치료를 받으려고 병원을 찾았는데 국가 유공자 의료복지카드를 내밀자 간호사들의 반응이 싸늘했습니다. 다른 병원에 가보라는 말을 들었고 몇몇 병원을 돌았지만, 문전박대를 당했습니다. 이런 일들을 겪으며 이 사회가 장애인과 그 가족들에게 얼마나 냉랭하고 비정한 곳인지 잘 알게 됐던 것 같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CA2E4A5A9E585220)
이야기는 거기에서 끝나지 않았다. 자신을 받아 줄 다른 병원을 찾던 중 그는 자기 삶을 바꿀 의사를 만나게 된다. '이학산'이라는 이름의 외과 의사였는데, 그는 어린 이국종이 내민 의료복지카드를 보고는 이렇게 말했다.
"아버지가 자랑스럽겠구나."
![](https://t1.daumcdn.net/cfile/blog/992A9D4F5A9E589028)
그는 진료비도 받지 않고 정성껏 치료하곤, 마음을 담아 이렇게 격려했다. "열심히 공부해서 꼭 훌륭한 사람이 되어라." 그 한마디가 어린 이국종의 삶을 결정했다. '의사가 되어 가난한 사람을 돕자. 아픈 사람을 위해 봉사하며 살자' 그를 대표하는 삶의 원칙도 그 때 탄생했다. '환자는 돈 낸 만큼이 아니라, 아픈 만큼 치료받아야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71864E5A9E58E81B)
어린 이국종이 내민 의료복지카드를 보며, '아버지가 자랑스럽겠구나'라는 말을 한 의사가 없었다면, 그는 우리가 아는 이국종이 될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 부끄럽다고 생각한 의료복지카드를 자랑스럽게 만들어 준, 근사한 한마디가 세상을 아름답게 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BB474E5A9E58FB26)
누군가 자신의 꿈을 말할 때, 당신은 뭐라고 답해주는가? "다 좋은데, 그게 돈이 되겠니?" "너 그거 하려고 대학 나왔니?" "그거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일이야!" 그런 말은 상대의 마음을 아프게 할 뿐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907B4A5A9E590D37)
이렇게 따뜻한 마음을 담아 호응하면 어떨까? "네 꿈 참 근사하다." "참 멋진 꿈을 가졌구나!" "그런 꿈을 가진 네가 나는 참 자랑스럽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25D475A9E593B3B)
한 사람의 꿈은, 그것을 지지하는 다른 한 사람에 의해 더 커지고 강해진다. 그 사람을 사랑한다면, 그대가 그 한 사람이 돼라. “한 마디만 달리 말해도, 한 사람의 삶을 바꿀 수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99A9EF455A9E595736)
<북한 귀순병을 살린 의인 >
|